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혼특공소득기준2

신혼부부특별공급&신혼희망타운 소득기준, 퇴사하면 0원일까? 내집마련의 꿈을 가진 신혼부부라면 누구나 생각해봤을 신혼희망타운과 신혼부부 특별공급, 하지만 소득 기준에 걸려 좌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득기준이 워낙 낮다 보니 기준에 맞추기 위해 퇴사를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는데요, 퇴사하면 소득이 0원으로 인정되는지를 알아봅시다. 먼저 민간분양 신혼특별공급 기준입니다. 민간분양의 경우, 신청자가 낸 자료를 통해 소득을 산정합니다. 일반 근로자의 경우 전년도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으로 소득을 계산하는데요, 원천징수영수증의 21번 항목 나누기 12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년도 근로소득이 없는 금년도 신규취업자의 경우, 금년도 월별 근로소득원천징수부를 확인합니다. 그렇다면, 계속 일을 하다가 입주자모집공고문 이전에 퇴사한 경우는 어떨까요. 이 경우는 지금 퇴사했다고 하.. 2020. 9. 18.
신혼특공 소득기준 확인법, 민간분양 공공분양 달라요 신혼부부가 노려볼 수 있는 대표적인 청약제도인 신혼부부 특별공급과 생애최초 특별공급, 신혼희망타운에는 모두 소득기준이 있습니다. 공공주택 민영주택 생애최초& 신혼부부 특별공급 도시근로자월평균소득 100% (맞벌이 120%) 우선공급 (물량 75%) 월평균소득 100% (맞벌이 120%) 일반공급 (물량 25%) 월평균소득 120% (맞벌이 130%) 신혼희망타운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100% (맞벌이 120%) - 참고로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3인 이하 기준 100%가 약 555만원 정도입니다. 5일 전 국토부장관이 신혼희망타운과 민영주택에 한하여 소득조건을 130%(맞벌이 140%)로 완화하는 것도 검토하겠다고 했었죠. 그렇다면 이 소득은 세전 기준일까요 세후 기준일까요? 답은 세전 기준입니다. 그렇다.. 2020. 9.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