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혼부부 내집 마련하기/신혼부부 특별공급 정보7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130%, 140%는 얼마? 소득기준 때문에 특별공급 혜택을 받지 못하는 신혼부부들을 위해, 앞으로는 생애 최초로 주택을 구입하는 신혼부부에게 신혼부부 특별공급 소득기준을 넓혀준다고 합니다. 기존 :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20% (맞벌이 130%) 변경 :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30% (맞벌이 140%) 3인 4인 5인 100% 5,626,897 6,226,342 6,938,354 110% 6,189,587 6,848,976 7,632,189 120% 6,752,276 7,471,610 8,326,025 130% 7,314,966 8,094,245 9,019,860 140% 7,877,656 8,716,879 9,713,696 4인가족 기준, 기존에는 맞벌이 월소득 800만원 이하만 신혼부부 특별공급 신청이 가능했는데 앞으로.. 2020. 9. 29.
신혼부부 청약, 혼인신고 언제 하는 게 유리할까? 사실 혼인신고는 어쩌면 결혼한 부부에게는 당연히 해야 하는 절차입니다. 허나 하루하루 내집마련이 어려워지는 현실 속에서, 많은 분들이 청약 유불리에 따라 혼인신고 시점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소위 말하는 '꼰대'적 생각으로는 이해가 되지 않을 수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만큼 우리 사회가 살기 팍팍해졌고, 젊은이들은 생존을 위해 똑똑해졌다고 하고 싶습니다. 간단하게 혼인신고를 하지 않는 경우, 하는 경우 경우의수를 따져봅시다. 딩크족, 아이 생각이 없는 신혼부부 무자녀로는 서울권이나 경기 인기지역 신혼부부 특별공급은 굉장히 힘듭니다. 대신 다른 특별공급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신혼희망타운의 경우 1단계 30%에 한하여 자녀 수에 상관없이 소득, 청약납입횟수, 지역 거주점수 만으로 가점을 산정합니다. 그래서.. 2020. 9. 23.
신혼부부특별공급&신혼희망타운 소득기준, 퇴사하면 0원일까? 내집마련의 꿈을 가진 신혼부부라면 누구나 생각해봤을 신혼희망타운과 신혼부부 특별공급, 하지만 소득 기준에 걸려 좌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득기준이 워낙 낮다 보니 기준에 맞추기 위해 퇴사를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는데요, 퇴사하면 소득이 0원으로 인정되는지를 알아봅시다. 먼저 민간분양 신혼특별공급 기준입니다. 민간분양의 경우, 신청자가 낸 자료를 통해 소득을 산정합니다. 일반 근로자의 경우 전년도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으로 소득을 계산하는데요, 원천징수영수증의 21번 항목 나누기 12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년도 근로소득이 없는 금년도 신규취업자의 경우, 금년도 월별 근로소득원천징수부를 확인합니다. 그렇다면, 계속 일을 하다가 입주자모집공고문 이전에 퇴사한 경우는 어떨까요. 이 경우는 지금 퇴사했다고 하.. 2020. 9.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