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국토부가 신혼특공 소득기준 추가 완화 조건을 발표했습니다.
신혼특공에는 우선공급과 일반공급이 있는데
우선공급 물량은 70%, 일반공급 물량은 30%입니다.
우선공급 소득기준 : 소득 100% (맞벌이 120%)
일반공급 소득기준 : 소득 140% (맞벌이 160%)
입니다.
우선공급 소득기준은 이전과 동일하며, 일반공급 소득기준만 변경되었습니다.
이는 공공주택, 민영주택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합니다.
신혼특공의 일종인 신혼희망타운은 기준이 조금 다릅니다.
신혼희망타운 소득기준 : 외벌이 130% (맞벌이 140%)
신혼희망타운 역시 소득기준이 10% 정도 완화되었습니다.
소득 100, 120, 140, 160에 대한 기준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현재, 분양아파트는 대부분 2인이어도 '3인 이하'에 포함되어 3인 기준 소득으로 계산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공고문마다 다를 수 있으니 확인 필수)
2인 | 3인 | 4인 | 5인 | |
100% | 4,379,809 | 5,626,897 | 6,226,342 | 6,938,354 |
120% | 5,255,771 | 6,752,276 | 7,471,610 | 8,326,025 |
130% | 5,693,752 | 7,314,966 | 8,094,245 | 9,019,860 |
140% | 6,131,733 | 7,877,656 | 8,716,879 | 9,713,696 |
160% | 7,007,694 | 9,003,035 | 9,967,147 | 11,101,366 |
맞벌이 160%까지 지원이 가능해지면
아이 둘 있는 맞벌이 부부 기준 세전 약 996만원까지 지원이 가능해집니다. 이는 연봉으로 따지면 1억이 넘는 액수입니다. 대기업+중소기업 맞벌이를 하는 부부들도 신혼특공에 지원을 할 수 있겠네요.
다만 완화된 소득기준은 전체 물량이 아닌, 신혼부부특별공급 물량의 30%에 그치는 만큼
경쟁률은 더욱 치열해 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각자 상황에 맞는 전략이 더욱 중요해지겠네요.
마지막으로 본인의 정확한 소득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방법은 공공분양과 민간분양이 다른데요,
아래 링크에 상세히 설명해두었습니다.
'신혼부부 내집 마련하기 > 신혼부부 특별공급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정리, 130%, 160%는 얼마? (0) | 2021.03.09 |
---|---|
과천 지식정보타운 S4, S5, S1 동시분양 정보, 중복청약 방법, 분양가 등 (0) | 2020.10.14 |
재혼 신혼특공 가능할까? 조건과 주의사항 알아보기 (0) | 2020.10.11 |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130%, 140%는 얼마? (0) | 2020.09.29 |
신혼부부 청약, 혼인신고 언제 하는 게 유리할까? (0) | 2020.09.23 |
댓글